시간: 2025년 8월 25일 오후 4시-
장소: 310관 519호
강사: 최경윤 (홍익대학교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조교수)
제목: Embodied Human-Computer Interaction: Exploring Interoceptive Interactions, Affective Haptics, and Social Connection in Hybrid Spaces
Abstract:
In this talk, I will explore embodied 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through the lens of physical computing, focusing on interoceptive interactions, affective haptics that engage with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tes, and social connection in hybrid spaces. My research bridges engineering, design, and the arts, investigating embodied physical interaction systems that integrate human-centered experience design with technological innovation.
I will present a series of projects, including ambienBeat, a wrist-worn haptic feedback device for regulating psychological stress; aSpire, a customizable pneumatic-haptic device for enhancing breathing awareness; and Picto, a system that opens an additional channel for remote nonverbal communication by translating hand gestures into robotic form and motion. These works leverage tactile perception and nonverbal interaction to extend one’s sense of presence and connectedness, demonstrating how physical computing and tangible user interfaces can deepen self-awareness and enable meaningful social interaction beyond physical and temporal constraints.
Finally, I will discuss how these research foundations inform educational approaches that foster integrative thinking, and outlin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imed at advancing interdisciplinary learning and innovation.
본 세미나에서는 Physical Computing을 기반으로 한 체화된(embodied)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HCI: Human-computer Interaction)을 다루며, 신체 내부 감각(interoception)을 활용한 인터랙션, 감정·심리 상태와 연계된 정서적 햅틱(Affective Haptics), 그리고 하이브리드 공간에서의 사회적 연결성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제 연구는 공학·디자인·예술을 넘나들며, 인간 중심의 경험 디자인과 기술을 결합한 체화형 물리적 상호작용 시스템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발표에서는 심리적 스트레스 상태 조절을 돕는 손목 착용형 햅틱 피드백 장치 ambienBeat, 호흡 인식을 높이는 맞춤형 공압-햅틱 장치 aSpire, 손의 움직임과 로봇의 물리적 형태·모션을 통해 원거리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또 다른 채널을 여는 Picto 등, 촉각 인지와 비언어적 소통을 활용해 존재감과 연결성을 확장하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소개합니다. 이러한 작업들은 피지컬 컴퓨팅과 유형적 인터페이스가 어떻게 자기 인식을 심화시키고, 물리적·시간적 한계를 넘어선 의미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지를 보여줍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융합적 사고를 확장하는 교육과 향후 연구 방향도 함께 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