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

대학원/연구실

미래를 여는 첨단기술 중앙대학교 기계공학부 대학원 정보입니다. 학교전경사진
교과과정

교과과정


세부

전공분야

 

교수

 

1학기

 

강의구분

 

2학기

 

강의구분

 

공통

 

이성혁

 

 

연구조사방법및 공학논문작성기법*

매년

/ 유체/ 에너지

 

김동규

 

연료전지개론

 

짝수해

신재생에너지를위한전기화학개론

홀수해

 

박중열

미세유체학*

홀수해

고등유체역학*

짝수해

고등유체기계

짝수해

 

이성혁

전산유체역학및응용*

 

매년

플랜트설비전산설계및연성해석기법

홀수해

 

이형순

대류열및물질전달*

짝수해

 

 

다상유체역학

홀수해

 

 

인정빈

고등열전도*

홀수해

3D 프린팅 공정의 열전달

짝수해

 

 

 

 

 

 

 

 

 

 

 

 

고체/재료

 

유재형

 

고등고체역학 (구 탄성론)*

 

매년

 

 

 

이영석

 

소성학

 

홀수해

 

유한요소해석*

 

짝수해

 

윤기봉

에너지안전

격년

 

 

파괴및파손분석

격년

 

조민행

 

 

고급재료거동*

홀수해

트라이볼로지

짝수해

장승환

 

 

기능성신소재역학

매년

이상민

 

 

에너지하베스팅기술특론

매년

 

최승태

연속체역학*

짝수해

 

 

 

 

연성재료의기전거동

홀수해

 

김승한

 

연속체역학*

 

홀수해

 

나노-바이오재료물성예측및분석

 

짝수해

 

 

 

 

 

 

 

 

시스템/제어

 

이재응

 

 

진동공학특론*

짝수해

구조물동역학

홀수해

 

석종원

 

유연구조물의동적해석및응용

 

짝수해

진동공학특론*

홀수해

비선형진동

격년

 

김태형

선형제어시스템*

 

매년

디지털제어시스템

홀수해

 

 

 

 

 

미정

고급로봇공학*

(로봇공학특론)

 

 

매년

 

 

 

 

 

인간중심로봇공학특론 (인간중심로봇공학개론)

 

홀수해

 

남우철

 

동역학특론*

 

매년

 

휴먼-기계시스템을위한AI

 

짝수해

 

이기욱

 

인체운동역학고려설계

매년

 

웨어러블로봇

짝수해

 

 

이석원

 

 

 

 

비선형제어시스템

매년

 

 

 

 

 

 

 

 

 

설계/생산

 

 

전산원용설계

 

매년

 

 

 

신영의

접합론

짝수해

 

가공프로세스특론

 

매년

공업재료특론

홀수해

오세훈

응용기계설계

홀수해

머신러닝및딥러닝입문

짝수해

김종민

마이크로시스템패키징특론

매년

 

 

 

최해진

 

 

 

복잡시스템설계특론*

 

매년

김석민

센서공학

짝수해

마이크로/나노광공학

홀수해

최정욱

마이크로시스템역학*

매년

 

 

이수영

 

 

고급기계인공지능특론

매년

양다솜

 

 

생체공학특론

매년

 

 

 

로봇융합전공

남우철

 

 

다물체동역학

짝수해

이기욱

 

 

인체동역학시뮬레이션

짝수해

이석원

자율지능 로봇 제어 특론

홀수해

 

 

 

장승환

소프트웨어러블테크놀러지

짝수해

키스톤디자인*

매년

지능형로봇을위한신기술의

이해

 

매년

 

 


:*표시는필수과목을의미함

세미나 과목


전공분야 교수 1학기 강의구분 2학기 강의구분
전공 공통   기계공학 세미나 I 매년 기계공학 세미나 II 매년

(*pass or fail 과목)


 

개설된 주요 교과목 개요


전공공통

연구 조사방법 및 공학논문 작성기법(Research Survey and Technical Writing Skills for Graduate Students) -Pass/Fail3

   최근국제화연구교류가필수적인요소로인식되는때에,국제적수준에부합하는학술연구논문을작성하기위한효율적인연구조사방법, 공학논문 작성기법에 대해 강의한다. 이러한 강의는 해외 유수의 대학들이 채택하고 있는 선진화된 강의이다.

 

기계공학세미나Ι /Ⅱ(MechanicalEngineeringSeminarΙ/Ⅱ)-Pass/Fail 3학점

대학원 석사과정 3차 또는 4차 학생을 대상으로 개설된다. 수업시간에 학생은 본인의 연구내용을 발표하고 토론을 통해 본연구내용의문제점을파악한다.그리고외부초청강사를초청해서졸업을앞둔학생이기계공학연구의최근동향을엿볼있도록한다.


열/유체/에너지 (Thermal/Fluid/Energy) 전공

고등유체역학(AdvancedFluidDynamics)3학점

  좀 더 진보된유체역학연구에필요한기초로서유체의운동학,동역학,열역학성질을포함한유체운동을지배하는수학,물리학적원리,N-S Eqn.유도,HighReynoldsNumber지배라는유동,Creeping Flow,경계층유동을다룬다.

 

대류열물질전달(ConvectiveHeatandMassTransfer)3학점

   기본지배방정식유도응용,경계층유동내의열전달해석,관내유동에대한열전달,난류유동열전달에대한기본적인이해,물질전달에대한기본방정식물리적메카니즘이해에있다.

 

전산유체역학응용(ComputationalFluidMechanicsandApplication)3학점

  유체역학열전달지배방정식유도물리적특성에대한이해,편미분방정식형태에따른수치해석적방법이해,특히 유한차분법(FDM)유한체적법(FVM)이용한해석방법에대한이해에역점을둔다.응용으로는CommercialS/W이용한다양한형상의열유체유동을다루게된다.

 

다상유체역학(MultiphaseFluidDynamics)3학점

  본 과목은 대학원 과목으로 다상유동시스템의 유동 및 열전달 현상에 관한 이론 및 응용을 다룬다. 기본 지배방정식과 해석모,그리고실험에근간한현상학적모델등을소개하며비등응축현상에대해다룬다.이외에도다상유동에대한최근연구논문들을조사발표하고이에대한토의를통해다상유동열전달등에대한이해를증진한다.과목수강을위해서는유체역학,열역학,열전달등에대한수강이선행되어야한다.

 

플랜트설비전산설계연성해석기법(ComputationalDesignandFSImethodsforPlantEngineering)3학점

  과목은플랜트설비의전산설계에대한고급해석기법을주로다루고특히연성해석기법을이용한실제엔지니어링문제를보다 심층적으로 다룬다. 관련된 중요 수치해석기법이 소개되며 주로 유한체적법에 기초한 해석기법을 이용한 비선형 편미분방정식을다룬다.상용코드를기초로플랜트설비를구성하는주요부분부품들을대상으로산업체와의연계를통해실제응용사례를소개하고개별프로젝트를통한응용성을향상시키고자한다.

 

미세유체학(Microfluidics)3학점

  과목에서는마이크로스케일에서일어나는물리현상과응용분야를배우고이를기초로하여미세유동의역학적특성,입자의 확산과 분리 현상, 물질 혼합과 열전달에 관하여 이해한다. 또한 이러한 원리들이 어떻게 활용되어 다양한 기능의 마이크로 시스템들이 만들어 지는지 공부한다. 생물학, 의학, 화학, 소형 연료전지 등에 활용되는 마이크로 유체 시스템들을고찰해보는기회도가진다.연구실산업현장에서미시적스케일의현상을이해하고응용하고자하는학생들에게적합한과목이다.

 

고등유체기계(AdvancedTurbomachinery)3학점

  과목에서는산업시설연구소현장에서자주활용되는발전기와펌프등의터보기계의원리를이해한다.유체를이용하여 동력을 만들어 내는 터보기계의 전반적인 원리 및 배경소개를 포함하고, 특히 축류형 터보기계에 대해 집중적으로다룬다. 열역학적 원리와 압축/비압축성 유체에 대한 유동 방정식을 함께 다루게 되므로 관련 학부과의 이수가 권장된다. 체의동력전달관련시스템을이해하고응용하고자하는학생들에게적합한과목이다.

 

고등열전도(HeatConduction)3학점

  변수분리법(separation of variables), 그린함수(Green’s function), 라플라스변환(Laplace transformation), 유한차분법(finite-difference method)등의 방법을 이용해 다양한 열전도 문제의 해석해(analytic solution) 및 수치해(numericalsolution)구하는과정을다룬다.그밖에움직이는열원에의한열전도현상상변화과정에서의열전도현상을공부한.

 

신재생에너지를위한전기화학개론(IntroductiontoElectrochemistryforRenewableEnergy)3학점

  과목에서는신재생에너지기술에대한전반적인소개와더불어신재생에너지를저장할있는에너지저장시스템에대해자세히다룬다.에너지저장시스템의이해를위해전기화학에대한기본적인지식을쌓고,전기화학이주로적용되는배터리시스템과연료전지시스템에대한기본적인원리를다룬다.

 

3D 프린팅 공정의 열전달 (Thermal Analysis of 3D Printing Process)3학점

  레이저 기반 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공정에서 발생하는 열 현상을 기존 열전달 이론을 바탕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배운다. 레이저 공학의 기본 원리를 소개하고, 이를 3D 프린팅 등 첨단 제조 기술에 적용하는 방법을 다룬다. 특히, 열 전달, 열 손실, 재료의 열적 특성 등이 공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효율적이고 정밀한 제조 프로세스를 설계하는 능력을 기른다.

 

연료전지개론(Fuelcell,Fundamentals)3학점

  과목에서는연료전지에대한전반적인소개와더불어연료전지의작동원리에대해자세히다룬다.전기화학이론을용한연료전지의작동에대한기본적인지식을쌓고,역학이적용되는부분에대해집중적으로다룬다.또한,연료전지 시스템에대한이해를도우며,수치해석적연구의기초를쌓는다.


고체/재료 (Mechanics/Meterials) 전공

유한요소해석(FiniteElementMethod)3학점

  학생들은미분방정식이대수방정식으로변환되는과정에대해우선상세히배운다.고전적인미분방정식의(solution)도출과정과유한요소법에의한미분방정식도출과정의차이점을배운다.선형대수방정식에서유한요소해석법으로공식,weakformequation개념적용(example),유한요소프로그램의구성,수치해의검토와수렴성해석그리고한요소망의효율성등을이해한다.또한비선형-소성변형문제와동역학문제를다루고,한계하중계산등의수치해석결과도출하는상업용프로그램소개하고이를사용하는방법에대해강의한다.

 

연속체역학(ContinuumMechanics)3학점

  연속체의변형을수학적으로기술하기위해텐서(tensor)개념을우선배운다.좌표선정에따른여러종류의응력변형률정의(definition)대해공부한다.그리고소재가외부하중에따라변형을경험하는상태(state)따른분류,탄성체,-소성체,-탄성체점성유체의개념을배우고이를텐서를사용하여기술하는방법을배운다.어떤외력을받는구조/소재 지배방정식을 유도하는 과정을 학생들은 배우고 이를 실제 공학문제에 적용하는 몇 가지 경우에 대해서도 강의한다.

 

고등고체역학(Advanced Solid Mechanics) 3학점

  선형과 비선형 탄성재료에 대해 응력과 변형율, 스트레인 에너지, 에너지평형, 일반화된 훅(Hooke)의 법칙과 탄성상수의 개념을배우고텐서표기,응력함수와복소수함수의이용을공부한다.또한 미소규모(마이크로/나노미터 수준)에서 발생하는 반도체, 금속, 부도체의 물질 특성 및 거동에 대하여 다룬다.

 

소성학(Plasticity)3학점

  본 과목에서는 미소변형(small deformation)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소성 변형이론을 강의한다. 학생은 항복조건과 소성유동법칙 그리고 소성변형 영역에서 응력-변형률관계에 대해 기본적으로 배우고 탄성영력에서의 응력-변형률 관계와의 차이점에대해서도 배운다. 학생은 대변형(large deformation) 이론을 바탕으로 한 운동학(Kinematics)대해 또한 배운다. 그리고 학생은소성이론을냉간압연,열간압연단조공정에응용하는방법에대해서도배운다.

 

고급재료거동(AdvancedMaterialBehaviors)3학점

  재료거동분야의주요주제이슈가되거나수강자가필요한주제선택하여강의한다.예를들어수소분위기에서의재료거동,부식분위기에서의재료거동,바이오엔지니어링분야에활용되는특수재료,재료거동의통계학적처리법,이방재료의강도거동,메조역학과재료거동,마이크로시험법등이강의주제가있다.또한재료파괴분야이론도강의가가능하다.확률론적파괴역학,고온에서의재료구성방정식,전산파괴역학등의주제선택하여강의한.강의식프로젝트식강의를병행하여강의한다.

 

트라이볼로지(Tribology)3학점

  과목은재료의마찰,마모,그리고윤활메커니즘을다룬다.모든접촉하는기구에서의마찰,마모,윤활거동,트라이볼로지적거동은기구의수명과안전이라는측면에서매우중요한요소이며이에대한분석이과목의주요학습대상이다.교과를통해마찰의요소,마모메커니즘,윤활메커니즘에대한심도있는논의를진행하며또한,베어링과같은기계요소에대한트라이볼로지적메커니즘을학습한다.특히,트라이볼로지성능을향상시키기위한다양한표면처리방법등에관해서도논의한다.외에도마이크로,나노,그리고바이오트라이볼로지현재많은관심을받고있는연구분야대한논의를포함한다.

 

기능성신소재역학(MachamicsofFunctionalCompositeMaterials)3학점

  가지이상의성질이서로다른물질이거시적으로혼합되어있는복합재료의기계적특성을소개한다.외부하중 및 환경에 의한 섬유강화복합재료의 변형 및 파손을 관련 이론들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다양한 기전특성 (Electro-mechanicalCharacteristics)가지는기능성재료의전기-기계적거동에대해서다룬다.특정조건을가지는기계부품의제조에적합생산공정들을소개하며,기능성재료의적절한제조방법과응용예를다룬다.

 

에너지하베스팅기술특론(AdvancedMechanicalEnergyHarvestingTechnology)3학점

  압전 (Piezoelectric) 또는 마찰대전 (Triboelectric) 효과에 의하여 기계에너지 (움직임, 진동 등)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원리에 대해 공부하고, 다양한 응용분야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해당원리를 활용한 새로운 응용분야에 대한 연구도 수행한다.

 

에너지안전(EnergySafetyandRisk)3학점

  에너지사고의리스크를줄이기위해서는공학적인면아니라,제도적,사회적인부족함이어떻게사고를유발하는지에대해서이해가필요하다.에너지안전사고리스크를최소화하기위해서는다학제적인접근이요구된다.과목에서는에너지안전기술의분야로,가스안전,에너지플랜트안전에대해리뷰하고,에너지안전과관련된주제에대해강의한다.강의주제는 다음과 같다 : 위험(Risk), 위험인식(Risk Perception), 위험커뮤니케이션(Risk Communication), 위기커뮤니케이션(Crisis Communication), 사고조사(Forensic Investigation), 안전윤리(Safety Ethics), 안전거버넌스 (Risk Governance), 안전 문화(Safety Culture), 회복탄력성 (Resilience), 안전기술과규제(Emerging Risk & Adaptive Regulation) 등이다. 각 주제 별로 이론 강의 및 여러 국내외 기업 및 기관의 안전 관련 실패 및 성공 사례를 살펴봄으로써에너지안전에 대한 이론적, 학적,제도적지식을실제적으로습득하게된다.

 

연성재료의기전거동(MechanicalandElectricalBehaviorofFunctionalPolymers)3학점

  A polymeris a substanceormaterialconsistingofverylargemolecules,ormacromolecules,composedofmanyrepeating subunits. Due to their broad spectrum of properties, both synthetic and natural polymers play essential and ubiquitous roles in everyday life.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present to students the basic principles necessaryto understand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behavior of (functional) polymers and their applications to polymeractuators and sensors. The course assumes a basic knowledge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nd mechanicsof materials. The student will grasp concepts of structure from bonding to microstructure, and then learn to consider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structure and property. With these tools and the subject matter outlined in this course,studentswill obtainawideknowledgeofmodernchallengestotheapplicationoffunctionalpolymers.

 

나노-바이오재료의물성예측분석(PropertyPredictionsandCharaterizationofNano-Biomaterials)3학점

  휴먼-머신공존기술에활용될수있는나노-바이오재료의물성예측분석에대해이해하는학문으로기능성나노-바이재료의공학적활용을위한재료특성에대해학습하고,원자현미경(AFM)등의분석장비를활용한표면기계적 특성 분석,환경조건에따른 물리화학적 특성등에대한 이론적접근을통해 나노-바이오재료의응용 분야를학습한다.

 

파괴파손분석(FractureandFailureAnalysis)3학점

 파손(failure)이 발생하였을 때 파손을 발생시킨 원인을 파악하여야 파손을 방지(failure prevention)할 수 있다. 특히 금속재료의기계요소의경우,파손원인으로,과도한설계하중,피로하중,부적절한환경(environment),재료의결함,재료의기계물성부족다양한원인이존재한다.따라서역학적해석(mechanicsanalysis)금속학적분석(metallurgicalinvestigation)등이필요하다.과목에서는파괴역학(fracturemechanics),피로해석모델(fatigueanalysismodel),금속파해석(fractography)등의기본이론을리뷰하고,실제파손사례들을검토함으로써파손분석의주요절차와방법을학습한다. 또한, 이러한 공학적 분석관련 지식뿐 아니라, 파손이 발생하였을 때 책임소재를 밝히기 위한 다툼에서 전문가의 의견(ExpertWitness)이어떤역할을하는지에대해서도소개한다.


시스템제어 (System/Control) 전공

동역학특론(AdvancedDynamics)3학점

  3차원 강체운동해석을 다룬다. 3차원 벡터 및 강체운동의 기구학, Inertia tensor 등을 배우고 특히 축대칭 강체의 해석들을주로 하며 Analytical dynamics도 소개한다. 강체 운동 방정식의 형성과 다물체(Multi body)시스템에 대한 constraints,수치해석법을 배운다. Hamilton의 정리, Lagrange방정식, Holonomic, Nonholinomic Constraints, Generalized CoordinatesandForces물체관성의이론적,수치적계산방법에대해연구한다.

고급로봇공학(로봇공학특론)(AdvancedRobotics)3학점

  로봇의기구학적,동역학적해석,로봇의위치힘의제어,로봇을위한프로그래밍에관하여논의한다.또한,로봇제어방법에대한최근이론의학습과지능로봇에대한연구도수행한다.

선형제어시스템(제어공학특론)(LinearSystemControl)3학점

  본 강의는 다양한 현대제어이론 및 선형/비선형 시스템 해석 기법들을 익혀 다양한 제어시스템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각시스템에 적합한 제어기를 설계하는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강의에서는 시스템의 안정도 분석을 위한Lyapunov 기법, 관측기 설계법, Robust control, Bang-bang control, LQG/LTR control, Sliding mode control 등과 같은현대제어기법들에대해강의한다.

 

진동공학특론(AdvancedEngineeringVibration)3학점

  연속체진동학에대한연구는매우흥미로우며이론적으로스트링,,,플레이트,쉘 및 기타연속적인물체들이어떤고유진동수와 모드 형태로 진동하는지 그리고 요동하는 외부 하중 또는 압력을 받을 때 이들이 어떻게 거동하는지 연구하는것은흥미진진할아니라공학적응용면에서도많은공학자들의관심사라 할 수 있다.또한편미분방정식과고유치문제에대한 거동과 의미를 이해하는데 이상적인 주제가 될 수 있으며 수학과 물리적인 현상 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이해가 이  과정에서강조된다.

 

구조물동역학(StructuralDynamics)3학점

  기계구조물의 진동 특성을 이론적으로 해석하고 이를실험적 모우드 해석법으로 구하는 방법을 배운다. 이를 위해 전산진해석PC이용한디지털신호처리법측정기술등을공부하고모우드해석관련응용사례들을다룬다.

 

유연구조물의동적해석응용(DynamicAnalysisofFlexibleBodiesandItsApplications)3학점

  과목에서는Hamilton원리,d’Alembert원리,가상일원리변분원리등의해석적인방법을이용하여유연구조물의구성방정식, 운동방정식 및 경계조건 등을 다룬다. 또한 이를 위해 텐서, 적분 정리 및 좌표변환, 연속방정식, 편미분 방정식및 그 해법고유치해석등을포함하여배운다.또한,,등을포함하는유연구조물에대한파동과진동에대한해석방법이의응용을다룬다.

 

비선형제어시스템(최적화이론응용)(ControlofNonlinearSystems)3학점

  본 강의는 다양한 최적화 이론 및 알고리즘을 자신의 전공 분야 연구에 적용 하고자 하는 석/박사 과정 대학원생을 수강대상으로한다.강의는다양한공학문제에서요구되는최적화문제를해결 할 수 있는능력을갖추기위하여주어진 문제를 최적화 문제로 정식화 하고, 이러한 수학적 모델의 해를 구하는 다양한 최적화 알고리즘의 이론과 적용을 소개한다. 위해강의에서는LinearandnonlinearprogrammingDuality등에관한최적화의기본적인이론과 Deterministic/Stochastic최적화알고리즘에대해강의한다.또한,강의는이와같은최적화이론알고리즘들이다양한공학문제들에어떻게적용될있는지에관한내용을포함한다.

 

인간중심로봇공학특론(AdvancedHuman-CenteredRobotics)3학점

  인체공학기반의로봇기구,구동기센서설계제어,동작경로생성등에대한내용을다루고,팀별프로젝트등을통해인간중심로봇공학에대한실무적인이해도를높인다.

 

디지털제어시스템(강인최적제어)(ControlofDigitalSystems)

  디지털신호처리를위한대표적인기법인z변환과상태변수법을배우고이를이용하여디지털시스템의특성을해석하고디지털제어기를설계하는방법론을익힌다.

 

비선형진동(Non-linearVibration)3학점

  비선형 진동은 유관 엔지니어링과 응용물리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주제로 이를 다루는 주된 접근 방법은 작지만중요한 동적 인자()의 점근적 전개를 이용하여 해석하는 것으로 본 교과목의 핵심은 이러한 해석적인 방법을 통해 현대공학적관심을끌고있는다양한운동체의분기특성등을포함하는비선형진동특성을학습하는것이다.

 

휴먼-기계시스템을위한AI(ArtificialIntelligenceforHuman-machineSystem)3학점

  다양한머신러닝기법들의수학적원리를소개하고이를바탕으로휴먼-기계시스템의성능을향상시키기위한인공지능기술들을배운다.

 

인체운동역학고려설계(DesignEased on Biomechanics)3학점

  인체의 거동 시 내부 및 외부에서 일어나는 역학적, 생체학적 및 생리학적 현상에 대한 근원적 탐구와, 이를 고려한 재활보조기구를설계하는학문이다.

 

웨어러블로봇(WearableRobot)3학점

  인간의능력을보조,재활,증강시켜줄수있는다양한웨어러블로봇에대한전반적인이해와새로운웨어러블로봇을 설계하는학문이다.


-

설계/생산 (Design/Manufacturing) 전공

전산원용설계(ComputerAidedDesign)3학점

  과목에서는컴퓨터를이용한3차원형상의표현에필요한여러가지이론들을다룬다.특히자유곡면을포함하는형상을 표현하기 위한 곡선, 곡면, 솔리드의 표현 방법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공부하고, 3차원 공간상에서의 변환, 컴퓨터 그래픽스의기본적인부분에대해서도다룬다.3차원CAD이론은설계,제조해석의기반이되는3차원형상의모델링에필수적인기술이다.

 

접합론(JoiningProcess)3학점

  Welding,Brazing,Soldering등의산업현장에서많이이용되고있는기술을학문적으로요약하여접합원리,접합현상사용용도, 목적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접합부의 품질향상 방법을 연구한다. 아울러, 각종 마이크로 접합법의 종류 및 원리,접합현상등을소개한다.

 

가공프로세스특론(AdvancedManufacturingProcess)3학점

  박막(Thinfilm)후막(Thickfilm)대기진공중에서생성·성장시키는방법과각종가공프로세스에따른막의특성계면반응확산등을주요내용으로하고있다.생산공정에적용되는각종프로세스중에서주물,단조,압연,압출,인발 등의소성가공분야와 선삭,밀링등의절삭분야의이론과 가공시의문제점및 해결방법등을습득시킨다.

 

응용기계설계(AdvancedMachineDesign)3학점

  여기에서는기계요소를중심으로배우는데먼저coupling,belt,clutchandbrake다루게되고상세하게powertransmission중요요소인치차를공부하게된다.먼저기어의종류를배우고기어의치형설계로외치차대외치차그리고내치차등을 공부하게 되고 중요한 감속기인 유성치차 구조와 원리설계 등에 대하여 공부하게 된다. 특히 기어의 강도평가시스템을프로그램중심으로공부하게된다.

 

마이크로시스템패키징특론(AdvancedMicrosystemsPackaging)3학점

  과목은마이크로시스템의Microelectronics,Photonics,RFMEMS전반적인기술을소개하고기반기술(FundamentalTechnology)재료,어셈블리,제조,해석기술,집적기술,그리고응용분야에대해구동원리,제작법 등을 심도 깊게 공부, 학습한다. 또한, 센서 및 액추에이터 등의 마이크로시스템의 전기적 패키지 디자인, 신뢰성 디자인,  관리,신뢰성평가수법에대해학습함으로써설계과신뢰성평가능력을배양한다.

 

복잡시스템설계특론(AdvancedDesignMethodologyforComplexSystems)3학점

  현대적 공학시스템들은 종종 다양한 단위계의 수평 및 계층적 결합구조, 고비용 해석모델, 복잡한 연관성을 가진 데이터, 높은불확실도, 등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이러한 복잡시스템을 통합적 체계적으로 설계해 나가기 위해 필요한 기법 들을 다룬다. 수강생들은 복잡시스템의 효율적 설계를 위한 최신의 문제정의 기법, 메타모델링 기법, 최적화 및 의사결정 알고리즘등을배울것이다.

 

공업재료특론(AdvancedEngineeringMaterials)3학점

  기계공학 및 소재산업에 사용되는 각종 공업재료(금속, 비철금속, 특수강, 합금강, 신소재 등)의 구조 및 일반적인 특성을 습득시킨다. 또한 각종 공업재료의 사용용도와 사용 환경에 따라 발생하는 각종 결함과 파손 형태 등을 소개하고, 사용 환경에 맞는신뢰성평가방법분석기법을학습한다.

머신러닝딥러닝입문(IntroductionofMachineLearningandDeepLearning)3학점

                         컴퓨터가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알고리즘과 기술을 기계공학 분야에 응용하는 학문

 

센서공학(SensorEngineering)3학점

  센서는다양한물리/화학적인자를계측하여우리가읽고기록하며해석할있는수치로변환해주는기기를의미하며  IoT 기술의 필수 요소기술이다. 본 강의에서는 센서 기술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며, 센서 기술의 기본 원리, 응용 사례 및최신동향에대해설명한다.구체적으로센서기술의개요,센서성능지표,센서의물리적원리(정전용량,압저항효과,전효과,광전효과,홀효과,열전효과,열저항효과),센서의설계구동방법(위치,변위,속도,,변형,압력,유량,,)대해소개한다.

 

마이크로/나노광공학(Micro/NanoOpticalEngineering)3학점

   기하광학에관한기본개념을학습하여렌즈광학시스템의설계분석능력을습득하며,빛의파동적인성질에 관한 기본개념을체계적으로학습함으로써광학과바이오센서다양한분야에서중요성이증대되고있는연구,개발응용에대한폭넓은지식을습득한다.이를바탕으로디스플레이,이미징,정보저장기기,마이크로/나노광학부품의 동작 원리설계기술을이해한다.또한마이크로/나노광학부품의제작을위한photolithography,E-beamlithography,Micromachining등의마이크로/나노가공기술Injectionmolding,Hotembossing,UV-replication등의복제기술을 배운다.

 

마이크로시스템역학(MechanicsofMicrosystems)3학점

  본 과목은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를 비롯한 다양한 마이크로/나노시스템 및 소자와 관련된 역학에 대하여 다룬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나노스케일 재료 및 제조 공정, MEMS 소자의 설계, 작동원리 및 응용, 그리고 나노스케일분석장비에대하여소개한다.이를통하여기계공학도관점에서마이크로/나노시스템소자를설계하고응용하는능력을배양한다.

 

고급기계인공지능특론 (Advanced AI for Mechanical Engineering)3학점

  본 과목에서는 최신 기계학습 및 인공지능 기술의 이론과 응용에 대한 심도 있는 학습을 목표로 한다. 고급 기계학습 알고리즘, 딥러닝, 강화학습, 자연어 처리 및 컴퓨터 비전 등 의 다양한 인공지능 주제를 다루며, 이론적 배경뿐만 아니라 실습을 통해 실제 기계공학 문제에 적용 가능성을 탐구한다. 또한, 응용 사례 분석과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인공지능 적용에 필요한 창의적 사고와 실무 능력을 배양한다.

 

생체공학특론 (Advanced Biomedical Engineering for Mechanical Engineers)3학점

  본 과목은 생체전자공학(Bioelectronics) 에서 다루는 개념을 실질적인 구현, 계측, 제작 및 상용화 관점에서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웨어러블 기기와 피부 센서를 중심으로 한 소자 및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에 중점을 두며, 생체 신호 모니터링부터 재활까지 다양한 응용 분야를 다룬다.생체전자공학 분야의 센서 설계와 작동 원리, 시스템 수준의 고려사항 및 측정 방법을 학습하면서 다양한 생체전자공학 기술의 특성을 이해하고, 선행 논문과 응용 사례를 분석,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체전자공학 분야에서 실무적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로봇/융합 (Robotics&Technology Convergence) 전공

키스톤디자인(KestoneDesign) 3학점

  본 과목은 미리 공지된 기능과 사양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어, 구동, 감지와 관련된 지능형 웨어러블 로봇의 구성요소를 직접 설계하고 제작하는 내용을 다루는 실용적 설계 및 제작과목이다. 정해진 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의설계를위해필요한이론강의선수강이필요하며,구성요소제작작품을교내외경진대회에출품하는것을 의무로정한다.

 

지능형로봇을위한신기술의이해(IntelligentRobotEngineering(C-MOOC))3학점

  본 과목은 로봇의 핵심 구성요소인 제어, 감지, 구동에 해당하는 제어이론, 센서, 엑츄에이터의 설계 및 응용에 대한 실용적 전문지식을소개하고,로봇을구성하는구조에사용되는기능성재료,운동특성평가,인공지능을이용한동작제어,체신호 감지를 위한 센서 제작, 인간의 기능을 보완하고 증강시키기 위한 고효율 구동기 설계 및 제작 등 로봇 설계에 핵심적인전공지식을소개하는과목이다.

 

소프트웨어러블테크놀러지(SoftWearableTechnology)3학점

  과목은유연한폴리머기반리본섬유를이용한직조형태의웨어러블센서를설계하고제작하는내용을학습한다.센서재료인전기활성고분자의전기적/기계적특성을이해하고,다양한형태로제작된전기활성고분자와표면에적용되전극의특성등을심도있게다룬다.센서전극재료에따른적용분야를결정하고,응용에적합한전극의사양을정하는방법을익힌다.유연하고신축성있는센서를일반적인의복형구조에적용하기위한기계,재료,전기적실용지식학습한다.

 

다물체동역학(MultibodyDynamics)3학점

본 과목에서는 다수의 물체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움직임에 대해서 다룬다. 특히 다관절 로봇 시스템을 수학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kinematics, constraints, kinetics, equation of motion등에 관련된 방법론들을 배우며 다양한 동적 시스템 해석에 적용해 본다.

인체동역학시뮬레이션(SimulationofHumanDynamics)3학점

  인체의움직임을표현할있는SimpleModel수립활용에대한내용을다루고,근골격계시뮬레이션을활용하여체의복잡한움직임근육관절의움직임을시뮬레이션분석할있는능력을배양한다.

자율지능 로봇 제어 특론(Advanced Control for Autonomous and Intelligent Robots)3학점

  무인항공기, 자동이동 로봇 등 지능형 이동로봇의 운용을 위한 궤적생성, 유도/제어 알고리즘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경로계획, 충돌회피, 최적제어, 유도기법에 대한 이론 및 수치 시뮬레이션 프로젝트를 통해 지능 로봇의 자율화를 위한 유도제어 설계 능력을 배양한다.

 

<전공연구>

전공연구Ι(Studiesin MajorFieldΙ)2학점 

전공연구 Ⅱ (Studies in Major FieldⅡ)2학점 

전공연구(StudiesinMajorFieldⅢ)2학점(삭제)

 

<프로젝트 연구> 

프로젝트 연구 Ι 3학점 

프로젝트연구3학점

프로젝트연구3학점



메일 지도 Top

I am a template 1.1

My account 1